Front-End
[ETC] 웹 이미지
웹 이미지 비트맵 vs 벡터 필요에 따라서 어떠한 이미지 포맷을 선택하느냐 이미지는 일반적으로는 벡터보다는 비트맵이 효과적 단순 구조한 아이콘, 로고, Material image등이 벡터로 만들는게 효과적 Material Design은 고품질 디지털 경험을 구축할 수 있도록 Googl에서 만든 디자인 시스템(방식) BeatMap JPG(JPEG) (Joing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Full-color 와 Gray-scal의 압축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압축률이 훌륭해 사진아니 예술 분야에서 많이 사용 손실 압축방식을 사용(이미지가 손실되면서 압축되는 것) - 용량이 획기적으로 준다 반복적으로 저장하는 행위는 X 이미지가 바래진다 PNG (Portable Network..
[Network] 웹 표준과 크로스 브라우징
웹 표준 웹 표준(Web Standard)이란 웹에서 사용되는 표준 기술이나 규칙을 의미 W3C의 표준화 제정 단계의 권고안(REC)에 해당하는 기술 W3C의 표준화 제정 단계 초안(Working Draft, WD) 후보권고안(Candidate Recommendation, CR) 제안권고안(Proposed Recommendation, PR) 권고안(W3C Recommendation, REC) 크로스 브라우징 크로스 브라우징(Cross Browsing)이란 조금은 다르게 구동되는 여러 브라우저에서, 동일한 사용자 경험(같은 화면, 같은 동작 등)을 줄 수 있도록 제작하는 기술 , 방법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최대한 웹 표준을 준수하지만 IE 브라우저는 표준화하기 쉽지 않은 브라우저 이런 IE에서도 동작하게 하..
[Network] TCP vs UDP
TCP와 UDP는 OSI 표준모델과 TCP/IP 모델의 전송계층 (데이터의 전달을 담당하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패킷을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전달해주는 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구현,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주소를 지정하는거과 데이터 오류 검사를 위한 체크섬 존채하는 두 가지 공통점이 있지만 정확성 (TCP)을 추구할지 신속성 (UDP)을 추구할지로 구분하여 나뉜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전송을 제어하는 규약이며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연결 지향적 프로토콜이다. 연결 지향적이란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의미. TCP는 신뢰성을 보장하는 연결형 서비..
[Network] OSI 7계층
OSI 7계층 참조 모델이란? OSI (Open System Inerconnection) 7계층은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을 말하며, 다른 시스템 간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제안한 통신 규약 네트워크 모델입니다 이렇게 계층을 7단계로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또한, 통신 과정 중에 특별한 곳에 이상이 생길 경우에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 등을 건드리지 않고 통신 장애를 일으킨 단계에서 해결할 수 있다 OSI 참조 모델의 기본원칙 적절한 수의 계층으로 나누어 시스템의 복잡도를 최소화 서비스 접점의 경계를 두어 상호 작용이 적어질 수 있도..
[Network] HTTP vs HTTPS
HTTP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서버 및 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 통신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가장 기초적인 프로토콜이다. 통신 규약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HTTP는 암호화가 되지 않은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HTTP는 정보를 텍스트로 주고받기 때문에 네트워크에서 전송 신호를 인터셉트하면 전송된 데이터 유출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HTTP로 비밀번호나 주민등록번호 등을 주고 받으면 제3자가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이런 보안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가 등장하게 되었다 HTTPS (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
[Network] TCP / IP 4계층
TCP / 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Internet Protocol)는 기본 통신 언어 즉,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인터넷으로 통신하는데 가장 기반이되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이라고 보면 된다 각 계층은 담당하는 위치마다 처리 역할을 구분해 진행함으로 서로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높힌다 특징 호환성 보장 (다른 제조사 장비들끼리도 통신 가능)으로 인한 비용 절감 쉬운 문제 해결 (계층별로 문제 확인 가능) 다른 계층끼리는 각 전달 과정을 알 필요없어 데이터의 캡슐화와 은닉이 가능 TCP 최상위 계층인 TCP는 전송제어 프로토콜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가져 와 패킷으로 컴파일 후 다음 TCP 계층에서 수신하도록 전송하여 데이터의 누락, 순서 등 ..
[Network] HTTP 통신과 작동방식 & Socket
통신 프로토콜(Communication Protocol, 통신 규약)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 및 규칙의 체계를 의미 대표적으로 HTTP, HTTPS, FTP SSL등이 있다 일반적인 프로토콜 Http : Hyper Text Transer Protocol Https : secure Hyper Text Transer Protocol TCP/IP 프로토콜을 가지고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파일 전송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 FTP : File Transfer Protocol 파일 전송 프로토콜 Telnet : Terminal NetworkSSH : Secure Shell 보안된 소켓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SMTP :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기타..
[CSS] 정의 & 특징 & 적용방법
정의 Cascading Style Sheet HTML과 함께 웹을 구성하는 기본 프로그래밍 요소 색상이나 크기, 이미지 크기나 위치, 배치 방법 등 웹 문서의 디자인 요소를 담당 웹 페이지에 다양한 스타일을 적용하므로 애플리케이션 페이지를 표시하는 프로세스를 단순하게 만들어주는 디자인 언어 css가 없으면 옷을 입지 않은 것과 같다 자바스크립트와 연계해 동적인 콘텐츠 표현이나 디자인 적용 가능 Cascading 의미 사전적 의미로는 폭포처럼 떨어져 내리는 상위 태그에서 정의된 디자인 속성은 하위 태그로 상속 하위 태그에서 상위 태그에 정의된 디자인 속성을 변경할 수 있음 동일한 디자인 속성이 외부,내부,인라인 스타일 시트에 적용 되어 있는 경우 우선순위는 가장 나중에 정의되는 스타일에 있다 정의된 세부적..
[HTML] 헷갈릴 수 있는 태크들!
i vs em 둘 다 이텔릭체로 폰트 타입을 변환 i : 시각적으로만 나타내고 싶을 때 em : 문장에서 정말 강조하고 싶은 부분이 있을 때i vs em b vs strong 둘 다 bold체로 보이지만 strong은 정말로 강조하고 싶을 때 ol vs ul vs li ol ordered list로 목록 순서가 중요하면 사용하는 태그 ol 속 li 태그 안에 또다른 ol 태그 사용가능 ul unordered list로 순서가 필요 없을 때 ul 안 li 태그 안에 또다른 ul 태그 가능, nestled loop처럼 dl description list로 단어에 대해 설명을 묶고 싶을 때 dt는 목록을 나타내는 단어 dd는 그 단어에 설명 img vs background-image img : html에서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