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

[React] map 함수 적용시 key props를 부여하는 이유
Key React에선 기존에 한땀한땀 작성해야했던 배열을 map()이라는 함수를 이용해 element list로 반복 실행할 수 있다 key는 react가 어떤 항목을 변경, 추가 , 삭제할지 식별하며 엘리먼트에 안정적인 고유성을 부여하기 위해 배열 내부의 엘리먼트로 지정해야 한다. 왜 필요할까? 위에서 언급했던 map이라는 함수로 요소를 하나하나 뿌려준다고 가정하자 리액트는 내용이 바뀔 때 즉, state값이 바뀔 때 마다 다시 랜더링을 하는데 10개의 리스트 중에 하나의 리스트만 바뀌었다면 리액트가 하나씩 리스트를 읽다가 어디서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전체를 재렌더링 한다. 그걸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요소들이 고유한 정체성을 가지도록 key값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러면 리액트는 key값으로 변한 내용인지,..
[React] Props & State
State State란 말 그대로 컴포넌트의 상태 값이다 State와 Props는 둘 다 object 이거, 화면에 보여줄 정보 즉, 상태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서로 비슷한 역할을 한다. props는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부모쪽에서 전달해야만 사용할 수 있고 (함수의 parameter 처럼) 읽기전용이다. state는 컴포넌트 내에서 정의하고 사용하며 업데이트 할 수 있다 state는 변수 대신 쓸 수 있는 데이터 저장공간이다. useState()를 이용해 사용해야한다 useState[a,b]에서 a는 state 데이터, b는 state 데이터 변경 함수이다 state에 데이터를 저장해놓는 이유 웹이 앱처럼 동작하게 만들고 싶어서 state는 변경되면 HTML이 자동으로 재렌더링 된다 HTML이 새로고침..